탄산은 식품에는 물론 조선과 반도체 등 국내 산업 전반에 쓰이는 산업용 가스로, 석유화학기업이나 정유사 등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원료로 한다.
그동안 탄산은 석유화학?정유업계의 정비일정과 업황 등에 따라 공급량의 변동이 심해 수요 업계에서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신선식품 택배사업이 확대되면서 드라이아이스 수요가 크게 늘었고, 조선사들의 선박 수주량 또한 증가해 용접용 탄산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부 업체에서는 탄산을 수입하고 있으나 높은 물류비용으로 이마저도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에 따라 10일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업계 간담회를 갖고 ‘탄산 수급 안정화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원료탄산 공급 안정화를 위해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석유화학?정유?발전사 등의 다음 연도 정비 보수 일정을 탄산제조사 등과 미리 공유하고 필요시 업체들과 협의해 정비 일정을 분산?조정한다.
탄산 공급량 확대를 위해서는 원료탄산 및 탄산 생산?제조 관련 실비 신?증설 프로젝트를 집중 발굴해 관리합니다. 규제개선과 업체의 애로 해소도 밀착 지원한다.
아울러 수입 확대와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수입보험 대상 품목에 탄산을 추가한다.
현행 제도와 사업을 적극 활용, 구매력이 약한 중소기업을 위해 대-중소기업 협력사 간, 중소기업 간 공동구매 모델을 발굴?확산한다.
한국석유화학협회를 탄산 수급 전담기관으로 지정해 산업부와 함께 정기적으로 국내 탄산수급 현황을 점검한다.
원료탄산 공급사의 정기보수 일정, 드라이아이스 수요 등을 고려해 내년 5~9월을 ‘탄산 수급 대책기간’으로 정해 유관 협단체와 긴급 가동반을 운영한다.